Data10 유지율, 어떻게 계산할까? 유지율, 어떻게 계산할까?– 클래식 / 버미 / 롤링 리텐션 3가지 방식에 대해 알아봅시다!여러분이 만든 앱에 사용자가 첫날 들어왔습니다.그 다음엔? 계속 쓸까요? 아니면 그날로 끝일까요? 지난 포스팅에서 '리텐션(Retention)'과 '유지율'의 개념을 알아봤죠.이번에는 이 유지율을 계산하는 방법 세 가지를 알려드릴게요.각 방식마다 쓰임새도 다르고, 해석도 다릅니다.지금부터 천천히, 예시와 함께 이해해보세요 😊1️⃣ 클래식 리텐션 (Classic Retention)특정 날짜에 ‘다시’ 들어왔는지 확인 클래식 리텐션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인 방식입니다.이 방법은 처음 행동한 날(Day 0)을 기준으로,그 이후 특정 날짜(Day 1, Day 7, Day 30 등)에 다시 행동한 사용자 비율을 봅니.. 2025. 3. 28. “유지율(리텐션)”이 뭔가요? – 사용자와 오래가는 프로덕트를 위한 첫걸음 “유지율(리텐션)”이 뭔가요? – 사용자와 오래가는 프로덕트를 위한 첫걸음여러분은 어떤 앱을 ‘계속’ 쓰게 되시나요?처음에는 호기심에 설치했지만, 며칠 뒤엔 삭제했던 앱도 있을 거예요.반대로 매일같이 찾게 되는 서비스도 있죠. 이런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를 어떻게 관리하느냐는,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중요한 과제입니다.이걸 데이터로 관리할 때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리텐션(Retention) 입니다. 오늘은 이 개념을 아주 쉽게, 그리고 실무적으로 풀어보려고 해요.리텐션이란?리텐션이란 간단히 말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탈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사용자가 오늘 가입했다고 끝이 아니라, 다음 날에도, 다음 주에도, 다음 달에도 꾸준히 방문하고, 사용하고, 심지어 결제까지 .. 2025. 3. 28. 활성화 지표와 퍼널 분석으로 전환율 높이는 방법 서비스에 사용자가 들어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진짜 중요한 건 ‘그들이 우리 서비스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가?’입니다.바로 이때 등장하는 개념이 ‘활성화(Activation)’입니다.이번 글에서는 활성화의 의미부터, 이를 어떻게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1. 활성화란 무엇인가요?활성화란 쉽게 말해, 우리 서비스를 쓰러 온 사람이 실제로 핵심 가치를 경험하거나, 유료 결제를 하는 등의 의미 있는 행동을 했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넷플릭스에 처음 가입한 사용자가 추천 콘텐츠를 보고 ‘정말 볼 게 많네!’ 하고 첫 시청을 시작했다면? → 이건 아하 모먼트(Aha moment) 를 경험한 것!배달앱에 가입한 사용자가 첫 주문을 했다면? → 이건 구매 전환 .. 2025. 3. 27. 사용자 활성화(액티베이션) 단계에서 중요한 지표들 제품을 만든다고 해서 사람들이 자동으로 계속 사용하지는 않습니다.사용자가 제품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고, 실제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이 과정이 바로 액티베이션(Activation) 단계입니다.이 단계에서는 두 가지 핵심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사용자가 제품을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있는가?사용자가 제품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가?이를 확인하기 위해 액티베이션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1. 체류 시간 (Duration Time, DT) – 사용자가 제품을 얼마나 오래 사용하는가?사용자가 제품(웹사이트나 앱)에 머무른 시간이 길다면,👉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콘텐츠를 충분히 탐색했다는 의미일 가능성이 큽니다. 평균 체류 시간 공식 평균 체류.. 2025. 3. 15. 광고 성과를 분석하는 방법: 클릭 비용이 아니라 실제 고객 획득 비용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온라인 광고를 운영할 때, 단순히 클릭당 비용(CPC)이 낮은 광고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하지만 진짜 중요한 것은 고객을 실제로 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CAC, Customer Acquisition Cost)입니다.👉 CPC만 보고 광고 매체를 선택하면 비효율적인 지출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고객 획득 비용을 분석하는 방법과 광고 예산을 최적화하는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cf) DATA 카테고리 게시물에 자세한 설명 있습니다 :)✅ CPC (Cost Per Click): 광고가 1번 클릭될 때 발생하는 비용. (광고비 ÷ 총 클릭 수)✅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한 명의 고객을 획득하는 데 드는 비용. (광고비 ÷ 총 구매 고객 수).. 2025. 3. 14. 디지털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 정리 온라인에서 광고를 하다 보면 "광고 성과가 좋은지 나쁜지"를 평가해야 합니다.그런데 어떤 기준으로 광고 성과를 측정할까요? 예를 들어볼게요! A라는 브랜드가 새로 출시한 신발을 광고하고 싶습니다.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광고를 진행했어요.그런데 광고를 보고 신발을 구매하는 사람이 많을까요?"광고를 몇 명이 봤는지", "광고를 클릭한 사람이 몇 명인지", "광고를 보고 실제로 신발을 산 사람이 몇 명인지" 알아야 광고 효과를 평가할 수 있어요!그래서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들이 필요합니다.이제 하나씩 쉽게 알아볼게요!1. 광고 성과 지표: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기준광고가 단순히 노출되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없습니다. 사람들이 광고를 본 후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분석해야 광고의 효.. 2025. 3. 14. 이전 1 2 다음